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장애인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치성향 및 의식조사 결과, 장애인 10명 중에 2명은 내년 총선에서 투표를 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해 지방선거에서 전국 투표율이 56%대에 머물렀지만 장애인 유권자의 투표율은 70%가 넘어 장애인의 높은 정치적 관심과 참여의지를 확인한 바 있다.
이처럼 장애인의 정치 참여 욕구는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장애인 유권자의 투표를 가로 막는 장애물이 있다.
투표를 하러 가고 싶어도 투표소까지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 때문이다.
조사 결과 약 30%의 장애인 유권자가 투표소의 접근성 문제로 인해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적으로 장애인 투표소의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해 선관위가 얼만큼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접근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투표소 접근성을 높이려면 투표소까지 이동하는 문제도 해결되어야 하고 투표소에서 적절한 편의제공도 이루어져야 한다.
투표소가 2층에 위치하고 있지만 엘레베이터 등이 설치되지 않은 건물이라면 장애인 유권자로서는 투표하러 가기 망설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일찍부터 해결하기 위해 일부 선관위에서는 내년 총선을 대비해 선거인의 접근성과 투표 편의성을 갖춘 사전투표소를 확보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엘레베이터가 없는 건물 2, 3층에 마련된 투표소가 있다면 1층의 일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관련 기관과의 협조를 통해서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처럼 투표소의 편의 시설을 점검하는 것과 더불어 투표소를 찾는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차량 등을 지원하기 위해 미리 수요를 파악하고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선거의 전 과정을 진행하는 선관위 직원이 장애인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장애인 유권자에 대한 편의 제공은 달라진다.
따라서 선관위 직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을 실시하여 우리 사회의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투표소의 편의시설을 갖추는 것은 비단 장애인 유권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유모차를 가지고 투표소를 방문하는 유권자도 있고, 고령의 유권자도 있을 것이다.
장애인 유권자를 고려한 편의는 결국 모든 이동약자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준다.
헌법상 보장된 권리인 선거권을 불편하다는 이유로 행사하는 것을 포기하는 불행한 일들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선관위는 지금부터 각 투표소의 현황을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장애인의 정치 참여 욕구가 높음에도 이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채 외면해 버리지 않도록 투표소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선관위는 만전을 기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경기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